Case_2 (경영)

Case 2. 한양대 경영학부

- 학생정보 -
학교 : 지방 일반고
내신 : 2.3등급
희망 전공 : 경영학과

<지원 대학>
한양대 경영학부 (합격)
중앙대 경제학과 (합격)
경희대 경영학부 (합격)
이화여대 경영학부 (합격)
건국대 경영학부 (불합격)
동국대 경영학부 (합격)


해당 학생은 2학년 2학기 ~ 3학년 1학기까지
컨설팅 기간은 일 년 수준이지만,
2-3학년 생활기록부를 모두 관리했던 학생입니다.



컨설팅 진행 과정에 앞서서
경영학부 지원 전략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경영학부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60% 이상은
마케팅이나 광고홍보와 관련된 진로를 희망합니다.

물론, 미디어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것도 좋지만,
많은 학생들이 희망하는 진로 분야인 만큼,
경영학부의 세부 전공인 재무, 회계, 인적자원관리를
진로로 희망하는 학생들에 비해
실질 경쟁률이 높다는 점도 인지해야 합니다.


위 학생도 마찬가지였습니다.
1학년 때는 경영 전략 및 마케팅에 관심을 가졌지만,
2학년부터는 재무, 금융으로 관심 분야를 좁혔습니다.


이후 사회적으로 이슈가 됐던 주제를 중심으로
교과목 (경제, 사회문화, 수학 등)과 연계하여
다양한 탐구보고서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학생과 함께 보고서 주제로 선정한 이슈는
1. 부동산 PF 대출 및 은행의 재무안정성
2. ESG경영 실적이 기업의 주가 및 재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3. 심리학 현상인 부정성 편향으로 바라본 ESG 경영 성과와 마케팅의 한계점

이외에도 정말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교과목과 연계하여 탐구 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보고서 내용의 일부만 공유해드리겠습니다~^^

* 생활기록부에 동일한 내용의 문구가 들어가는 경우 평가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는 하시되, 표절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해주세요!


- 학생부종합전형의 본질 -

문과를 선택한 학생들 중 많은 학생들이
확고한 목표 없이 경영학부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생들이다보니 꿈이 자주 바뀌거나
무엇을 해야할지 모르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리고 대학에서도 명확한 꿈이나 진로가 없다는 것을
불합격의 이유로 삼지 않습니다.

대학이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학생을 선발하는 기준은
우리 대학/학과에서 진행하는 전공 수업을
잘 따라올 수 있는 역량을 갖춘 학생인가?
입니다.


제가 진행하는 컨설팅 방향성도 마찬가지입니다.

교수님의 입장에서 봤을 때
이 학생이 우리 학과에서 공부하기에 적합한 학생인가?
의 관점으로 탐구 보고서 주제를 잡고,
구체적인 관심 분야를 어필하다보니

평균보다 낮은 성적임에도 불구하고
목표 대학에 대한 높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다고
저 개인적으로는 생각하고 있습니다ㅎㅎ


상담이 필요하신 학생 / 학부모님께서는
아래 연락처로 문의 바랍니다~^^
010 - 8637 -2641